재해조사 순서 4단계, 재해조사 방법 5가지, 재해조사 시 유의사항, 재해조사 항목 및 재해발생 시 응급조치 사항
1. 재해조사의 개요
재해조사는 기 발생된 재해를 과학적 방법으로 조사, 분석하여 재해의 발생 원인을 규명하고, 안전대책을 수립함으로써 동종 및 유사재해의 재발을 방지하고 안전한 작업상태의 확보, 쾌적한 작업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시하는 조사이다.
2. 법적 근거 (산업안전보건법)
사망 또는 3일 이상의 휴업을 요하는 부상을 입거나 질병에 걸진 자가 발생한 때
3. 재해조사의 목적
1) 재해발생 상황의 진실 규명
2) 재해발생의 원인 규명
3) 재해통계를 대책으로 활용
4) 예방대책의 수립 : 동종 및 유사재해 방지
4. 재해조사 순서 4단계
1) 전제조건(0단계) : 재해상황의 파악
2) 제1단계 : 사실의 확인
3) 제2단계 : 직접원인(물적원인, 인적원인)과 문제점 발견
4) 제3단계 : 기본원인(4M)과 근본적 문제점 결정
5) 제4단계 : 동종 및 유사재해 예방대책의 수립

재해발생시 조치사항
5. 재해조사 방법 5가지
1) 재해조사는 재해발생 직후에 실시한다. (현장보존)
2) 현장의 물리적 흔적(증거)을 수집 및 보관한다.
3) 재해현장의 상황을 기록하고 사진을 촬영한다.
4) 목격자 및 현장 관계자의 진술을 확보한다.
5) 재해 피해자와 면담 (사고 직전의 상황청취 등)
6. 재해조사 시 유의사항
1) 사실을 수집한다. (이유와 원인은 뒤에 확인)
2) 목격자 등이 증언하는 사실 이외의 추측이나 본인의 의견 등은 분리하고 참고로만 한다.
3) 조사는 신속히 실시하고, 2차 재해 방지를 위한 안전조치를 한다.
4) 인적, 물적 요인에 대한 조사를 병행한다.
5) 객관적인 입장에서 2인 이상 실시한다.
6) 책임추궁보다 재발방지에 역점을 둔다.
7) 피해자에 대한 구급조치를 우선한다.
8) 위험에 대비해 보호구를 착용한다.
7. 재해조사 항목
- 재해발생 연원일, 시간, 장소
- 피해자의 성명, 성별, 연령, 경험
- 피해자의 직업, 직종
- 피해자의 상병의 정도, 부위, 성질
- 사고의 형태
- 기인물 및 가해물
- 피해자의 불안전한 행동
- 피해자의 불안전한 인적 요소
- 기인물의 불안전한 상태
- 관리적 요소의 결함
- 기타 필요한 사항
8. 재해발생 시 응급조치 사항
- 신속한 응급처치 : 부상자에게 필요한 응급처치(심폐소생술, 응급처치 등)를 신속하게 실시
- 2차 재해 방지 : 화재, 폭발, 유해 물질 누출 등 2차 재해 발생 위험을 제거하고 안전 조치
- 안전한 환경 조성 : 위험물질 제거, 환기, 안전장치 설치 등 안전한 작업 환경을 조성
- 관계자 통보 : 사고 발생 사실을 관련 부서 및 기관에 통보
- 현장 보존 : 사고 현장을 보존하여 재해 조사에 필요한 증거를 확보
- 사상자 대피 및 이송 : 부상자 및 사상자를 안전한 장소로 대피시키고, 병원으로 이송
- 긴급 연락망 구축 : 재해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한 긴급 연락망을 구축
※ 재해발생시 조치사항 중 "긴급처리"사항을 기술해도 괜찮지 않을까.
1) 피재기계의 정지
2) 피해자의 응급처치
3) 관계자의 통보
4) 2차 재해 방지
'산업안전관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계설비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차단하는 방법 (0) | 2025.03.20 |
---|---|
부주의의 심리적 특징, 발생원인 및 방지대책 (0) | 2025.02.28 |
중대재해 감축 로드맵 (1) | 2025.01.17 |
하인리히(Heinrich)의 사고(재해)예방대책 5단계 (3) | 2025.01.14 |
제조물 책임법 (Product Liability, PL) (0) | 2025.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