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인 소음방지대책은 크게 소음원, 전파경로, 수음측의 대책으로 분류하며, 소음과 음압과의 거리에 의해 달라지므로 흡음, 차음, 방진에 대한 저감을 통한 소음방지 설계 기술을 활용해야 한다.
① 소음원의 제거 및 억제 (소음원의 대책)
② 소음의 차단 (전파경로의 대책)
③ 관리적 대책 (수음측의 대책)
공학적 대책
1. 소음원의 제거 및 억제 (소음원의 대책)
소음이 발생하는 기계·설비 등을 제거하거나 개선하여 소음 발생을 억제하는 방법
- 발생원인 대책 : 유속의 저감, 마찰력의 감소, 충돌의 방지, 공명의 방지, 저 소음형 장비로 교체 등
- 공기통로 대책 : 가능한 최소한의 크기로 적용, 소음기의 설치, 공기통로의 변형 등
- 방음덮개 : 필요한 정도의 투과손실과 흡음이 가능한 방음덮개 설치
- 방진 및 제진 : 진동의 전달 경로에 방진기 설치, 소음 방사면에 제진커버 시공
2. 소음의 차단 (전파경로의 대책)
전파경로를 정확히 파악, 피해 지역을 예측하여 소음구역도 등을 작성하여 소음의 전파를 방해하거나 감쇠, 저감하는 방법
- 소음원이 있는 건물의 내벽에 흡음처리 : 실내음압 저감
- 건물 벽체 및 천정의 차음성능 강화 : 소음의 투과손실 증가
- 방음벽의 설치 : 소음피해 예상지역과 인접한 경우 회절감쇠 및 투과손실 증가
- 소음원의 피해지역과 가능한 원거리 배치 : 거리감쇠 증가
- 지향성의 변화 : 소음의 방향성을 변화함 (고주파음에 효과)
종합적으로, 소음원이 위치한 공간에 흡음재 및 차음재를 사용하여 소음을 차단하는 방법
- 흡음 : 소리 에너지를 흡수
- 차음 : 소리 에너지를 차단
관리적 대책
관리적 대책은 최선의 공학적 대책에 한계가 있을 때 제한적으로 실시될 수 있음.
관리적 대책은 수음측의 대책이라 소극적 대책이라 할 수 있다.
관리적 대책으로는 작업자의 관리, 통제, 교육 등의 방법이 있음.
1. 폭로시간의 단축 및 휴식
소음에의 폭로시간을 최소화하고, 근로자가 충분한 휴식시간을 갖도록 한다.
소음작업장에 종사하는 근로자는 정기적으로 작업을 전환하여 지속적인 장기 폭로를 방지한다.
2. 방음보호구 지급
공학적 대책이 작업 여건상 불가능한 경우에는 소음작업장에 종사하는 근로자에게 방음보호구를 지급하도록 한다.
3. 청력보존 프로그램 시행
작업환경 측정 결과 소음수준이 85dB을 초과하면 청력보존 프로그램을 수립하여 시행한다.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 제512조
청력보존 프로그램이란 다음 각 목의 사항이 포함된 소음성 난청을 예방·관리하기 위한 종합적인 계획을 말한다.
가. 소음노출 평가
나. 소음노출에 대한 공학적 대책
다. 청력보호구의 지급과 착용
라. 소음의 유해성 및 예방 관련 교육
마. 정기적 청력검사
바. 청력보존 프로그램 수립 및 시행 관련 기록·관리체계
사. 그 밖에 소음성 난청 예방·관리에 필요한 사항
기계소음의 방지대책
산업용 기계에 있어서 소음의 발생은 피할 수 없는 것이지만 이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최소화시키는 것이 안전한 제품 제작에 필수요소라 할 수 있다.
소음을 차단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는
1. 소음원 통제
소음이 발생되는 장소에 소음기를 부착하는 등의 조치를 통해 소음발생을 통제
2. 소음의 격리
기계설비를 감싸는 등의 조치를 통해 소음원을 격리시키는 방식이다. 프레스 등 고소음 발생원을 차단하기 위해 설비자체를 차폐시키는 방법 등이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3. 차폐장치 및 흡음재료 사용
허니콘(Honey Cone) 재질 등을 사용하여 차폐벽을 설치하는 등의 조치를 말한다. 도로 옆에 설치되는 방음벽이 대표적 예라 하겠다.
4. 적절한 배치
작업장에 기계설비를 배치할 때 고소음 발생 설비를 한 곳으로 집중 배치하는 등의 조치를 말한다.
5. 방음보호구 사용
근로자에게 귀마개, 귀덮개 등의 보호구를 착용토록 유도함으로써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방법. 가장 소극적인 대책이라 할 수 있다.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513조(소음 감소 조치)에 의하면 1일 8시간 작업을 기준으로 90dB 이상의 소음을 “강렬한 소음”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강렬한 소음작업 장소에 대해 소음감소 조치를 요구하고 있다.
'산업안전관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해조사의 목적, 순서 4단계, 방법 5가지 & 재해조사 시 유의사항 등 (1) | 2025.03.24 |
---|---|
부주의의 심리적 특징, 발생원인 및 방지대책 (0) | 2025.02.28 |
중대재해 감축 로드맵 (1) | 2025.01.17 |
하인리히(Heinrich)의 사고(재해)예방대책 5단계 (3) | 2025.01.14 |
제조물 책임법 (Product Liability, PL) (0) | 2025.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