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성평가 2

중대재해 감축 로드맵

고용노동부는 선진국 정책 사례, 현장의 안전보건 관계자, 안전보건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노사 의견 등을 폭넓게 청취·수렴해 「중대재해 감축 로드맵」을 발표했다. (2022.11.30)이 로드맵은 2026년까지 사고사망만인율(사망자 수의 1만 배를 전체 근로자 수로 나눈 값)을 OECD 평균 수준인 0.29 0/000로 감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위험성평가를 핵심 수단으로 「자기규율 예방체계」 확립 ① 예방과 재발 방지의 핵심 수단으로 위험성평가 개편위험성평가 제도를 ‘핵심 위험요인’ 발굴·개선과 ‘재발 방지’ 중심으로 운영하고, 2023년 내 300인 이상, 2024년 50~299인, 2025년 5~49인 사업장에 단계적으로 의무화한다. 중소기업도 위험성평가를 손쉽게 할 수 있도록 실..

위험성 평가의 정의와 내용

■ 위험성 평가의 정의사업주가 스스로 유해·위험요인*을 파악하고 해당 유해·위험요인의 위험성* 수준을 결정하여, 위험성을 낮추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마련하고 실행하는 과정을 말한다. 조금 다른 정의 : 위험성 평가는 사업장의 유해·위험요인을 파악하고, 그 요인에 의한 부상이나 질병의 가능성과 중대성을 추정·결정하여 위험성을 낮추기 위한 조치를 마련하고 실행하는 과정이다. * 유해·위험요인유해·위험을 일으킬 잠재적 가능성이 있는 것의 고유한 특징이나 속성을 말함 * 위험성 유해·위험요인이 사망, 부상 또는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과 중대성을 고려한 위험의 정도를 말한다.■ 위험성 평가의 실시 내용사전준비로 실시규정작성, 담당자 및 참여자 선정, 사고사례 수집 및 분석을 하고 순회안전점검을 통한 유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