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안전기술사 3

하인리히(Heinrich)의 사고(재해)예방대책 5단계

하인리히는 산업안전원칙의 기초 위에서 재해예방 5단계 방법을 제시하였다. 재해예방 5단계는 다음과 같다.제1단계 : 안전관리조직(Organization)제2단계 : 사실의 발견(Fact Finding) : 재해의 발견제3단계 : 평가·분석(Analysis) : 대책 수립제4단계 : 시정책의 선정(Selection of Remedy)제5단계 : 시정책의 적용(Application of Remedy) 제1단계 : 안전관리조직(Organization)경영자는 안전목표를 설정하여 안전관리를 함에 있어 가장 먼저 안전관리조직을 구성하여 안전활동 방침 및 계획을 수립하고 전문적인 기술을 가진 조직을 통한 안전활동을 전개함으로써 근로자의 참여하에 집단의 목표를 달성하도록 하여야 한다. 제2단계 : 사실의 발견(Fac..

제조물 책임법 (Product Liability, PL)

[제조물 책임법]에서 말하는 제조물 책임법 목적 이 법은 제조물의 결함으로 발생한 손해에 대한 제조업자 등의 손해배상책임을 규정함으로써 피해자 보호를 도모하고 국민생활의 안전 향상과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인 제조물 책임법의 목적 제품이 갖추어야 할 안전성이 결여되어 소비자가 피해를 입었을 경우, 제조자가 부담해야 할 손해배상책임을 말한다. 즉, 제조물 책임은 제품의 결함으로 인해 발생한 인적·물적·정신적 피해를 공급자가 부담하는 한 차원 높은 손해배상제도이다.  제조물 책임법에서 말하는 "결함"이란? 해당 제조물에 제조상·설계상 또는 표시상의 결함이 있거나 그 밖에 통상적으로 기대할 수 있는 안전성이 결여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제조물 책임법에서 결함의 종류는?1. 제..

산업안전보건법의 목적, 산업재해, 중대재해, 중대산업사고

1. 개요 (산업안전보건법의 목적, 산업안전보건법 제1조)산업안전보건법은 산업 안전 및 보건에 관한 기준을 확립하고 그 책임소재를 명확하게 하여 산업재해를 예방하고 쾌적한 작업환경을 조성함으로써 노무를 제공하는 근로자의 안전 및 보건을 유지, 증진함을 목적으로 한다.​2. 산업재해 (산업안전보건법 제2조) 1) 정의 : 노무를 제공하는 사람이 업무에 관계되는 건설물·설비·원재료·가스·증기·분진 등에 의하거나 작업 또는 그 밖에 업무로 인하여 사망 또는 부상하거나 질병에 걸리는 것 2) 보고 : 산업재해로 사망 또는 3일 이상의 휴업이 필요한 부상을 입거나 질병에 걸린 사람이 발생한 경우 해당일로부터 1개월 이내 산업재해조사표를 작성하여 관할 지방고용노동관서의 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3) 기록 : 사업주..